사실은 이렇습니다.

미디어오늘 언론사의 기자·PD도 쿠팡 ‘블랙리스트’…쿠팡은 “MBC 법적 조치” 사실은 이렇습니다.

만나면 좋은 친구 엠비씨 2024. 2. 16. 06:14

 


 
사실은 이렇습니다.
 
이미 언론계에선 쿠팡의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5일 “블랙리스트가 노동권과 언론자유를 침해한 중대 범죄임을 분명히 밝힌다”며 “쿠팡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즉시 요구할 것이며 언론인 개인정보침해와 취재 방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겠다. 아울러 글로벌 기업이라 자평하는 쿠팡에 걸맞게 이번 범죄행위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고 글로벌 연대로 쿠팡의 허울을 벗겨내겠다”고 했습니다.

언론노조는 “다수 언론의 보도와 쿠팡대책위의 의견을 들어보면 블랙리스트는 노조 조합원과 내부 공익제보자의 취업을 막고, 쿠팡 관련 탐사보도를 했거나 업무 환경의 문제를 지적했던 언론인의 취재를 차단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며 “특정 노동자의 개인정보를 명시하여 취업을 차단하는 행위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자 노조 조합원에 대한 부당노동행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이번 블랙리스트 사건으로 쿠팡은 허울만 글로벌일 뿐, 한국계 미국인인 김범석 의장이 영주처럼 전횡을 휘두르는 봉건 왕국임이 드러났다”고 했습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도 이날 “(쿠팡이) MBC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예고한 건 더 큰 문제였습니다. 쿠팡의 천박한 언론관을 규탄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면서 “2021년 2월 자사의 열악한 노동실태를 고발한 기자 및 언론사를 상대로 억대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논란이 빚었던 곳이 바로 쿠팡”이라고 했습니다.

언론연대는 “쿠팡의 노동환경은 ‘관리자의 허락을 받아야만 화장실을 갈 수 있다’고 알려진 만큼 열악하기로 유명했습니다. 그 속에서 수많은 노동자들이 사망했다”며 “쿠팡이 정작 해야 할 일은 언론을 겁박하는 게 아니라,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한 제대로 된 해명”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쿠팡은 ‘로켓배송(새벽배송)’ 등을 내세우며 국내 택배시장을 빠르게 장악해가고 있다. 쿠팡플레이를 통한 OTT업계에 진출한 상태입니다. 기업 규모가 커지는 만큼 감시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쿠팡이 기피인물 재채용을 막기 위해 만든 소위 ‘블랙리스트’에 기자·PD 등 언론인도 포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쿠팡 측은 관련 의혹 제기를 “악의적 보도” “허위사실”로 규정하고 법적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MBC는 지난 13~14일 쿠팡에 블랙리스트격인 ‘PNG 리스트’가 존재하며 해당 리스트에 채용 기피 대상인 직원들, 나아가 신문·방송사에서 일하는 언론인 약 100명 등이 포함됐다고 보도했습니다. MBC는 ‘PNG’ 의미를 ‘기피인물’을 뜻하는 외교전문 용어인 ‘페르소나 논 그라타’(PNG, Persona Non Grata)로 추정했습니다. MBC는 또 쿠팡 퇴직자, 노동조합, 언론 종사자 등 관계자들이 본인 이름과 소속, 생년월일, 휴대전화 번호 등을 입력해 해당 리스트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나도 쿠팡 블랙리스트?> 페이지를 공개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리스트에는 쿠팡 관련해 코로나19 방역 허점을 보도하거나, 폭염 속에서 에어컨 없이 일하는 물류센터 노동 실태를 보도한 기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쿠팡 관련 보도를 한 적이 없는 기자들의 경우, ‘시경 캡’ ‘바이스’ 등으로 불리는 경찰청·서울시경찰청 출입기자 명단과 상당수 일치한다고 MBC가 보도했습니다. 언론인들 등재 이유로는 ‘내부정보 외부유출’ ‘회사 명예훼손’ ‘기밀정보 유출’ ‘허위사실 유포’ 등이 제시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쿠팡노동자의 건강한 노동과 인권을 위한 대책위원회’(쿠팡 대책위)는 14일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PNG 리스트’라는 제목의 엑셀 파일을 공개한 바 있었습니다.
 
그래서 MBC 와 MBC 취재팀은 취재윤리위반 하지 않았습니다.


언론사의 기자·PD도 쿠팡 ‘블랙리스트’…쿠팡은 “MBC 법적 조치” > 폐이크뉴스